생활/자격증

5. [SQLD - 데이터 모델링의 이해] 식별자(Identifiers)란?

사당맥주 2023. 8. 9. 14:27
반응형

안녕하세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중요한 개념인 "식별자(Identifier)"와 "식별자 관계 vs 비식별자 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식별자 (Primary Key)의 특징

유최불존


1. 일성 (Uniqueness)

   - 주식별자는 각 엔터티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식별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 중복된 값을 가질 수 없으며,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고유한 값을 가져야 합니다.

2. 소성 (Minimality)

   - 주식별자는 최소한의 속성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 불필요한 속성을 제외하여 가장 간결한 형태로 식별자를 구성해야 합니다.

3. 변성 (Immutability)

   - 주식별자 값은 변하지 않아야 합니다.
   - 한 번 정해진 주식별자 값은 수정되지 않아야 하며, 엔터티 인스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4. 재성 (Existence)

   - 모든 엔터티 인스턴스는 반드시 주식별자 값을 가져야 합니다.
   - 주식별자 값이 없는 엔터티 인스턴스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식별자의 분류

1. 대표성 여부

   - 주식별자는 해당 엔터티를 대표하는 특성을 가져야 합니다.
   - 엔터티의 특징을 가장 잘 나타내는 속성이 주식별자가 됩니다.

2. 스스로 생성되었는지 여부

   - 주식별자는 스스로 생성되거나 외부에서 제공되는 값일 수 있습니다.
   - 자동으로 생성되는 시퀀스, 날짜 및 시간 등이 주식별자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단일 속성의 여부

   - 주식별자는 하나의 속성 또는 여러 속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 단일 속성으로만 구성되거나 복합 속성으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4. 대체 여부

   -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후보 주식별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 하나의 주식별자를 선택하거나 대체할 수 있습니다.

식별자 관계 vs 비식별자 관계

- 식별자 관계는 부모 엔터티의 주식별자가 자식 엔터티의 주식별자와 일치하는 관계를 말합니다.
- 비식별자 관계는 자식 엔터티의 주식별자가 부모 엔터티의 주식별자와 일치하지 않는 관계입니다.

이렇게 "식별자의 분류"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식별자와 관계의 기본 개념을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데이터베이스 모델링과 설계 과정에서 이러한 개념을 활용하여 데이터의 구조와 상호 관계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