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oracle
- SQLD
- Mac
- OSI
- Layer
- Linux
- 네트워크
- java
- 스위치
- Next
- frame
- Router
- Python
- 프로그래밍
- Layer2
- 자바
- 함수형
- dhcp
- Layer4
- ip 할당
- Packet
- network
- 포트
- 자격증
- next.js
- Port
- 오라클
- nextjs
- class
- 자바8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DEV/Typescript (1)
BEER&DEV

OptionalChaning(물음표 한개) (?) 객체뒤에 물음표를 붙이면 객체가 undefined, null 일 경우 코드를 중지하고 undefined를 반환함. 즉, 있어도 없어도 될때 사용하면 좋음 Nullish Coalescing(물음표 두개) (??) 물음표 두개를 사용 null 또는 undefined일 경우 오른쪽 수식을 따름 ?? 과 || 의 차이점 let response = optionalObj ?? result; 위 코드를 보면 optionalObj이 null, undefined 라면 result가 response에 할당된다. " || " 과 " ?? " 차이점이라면 " || "은 boolean 값도 판단하지만 Nullish Coalescing(물음표 두개)는 아님. 즉, Nullish ..
DEV/Typescript
2021. 12. 15. 12:13